석면소개/해체대상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석면소개/해체대상

> 석면해체 > 석면소개/해체대상

석면소개/해체대상

석면의 정의

석면의 정의에대한 설명입니다.

석면은 백만년전 화산활동에의해 발생된 화성암의 일종으로서 자연계에 천연으로 존재하는 사문석 및 각섬석의 광물에서 채취되는 섬유 모양의 규산 화합물로서 직경이 0.02~0.03mm (머리카락1/5000)정도의 유연성이 있는 견사상의 물질로 광택이 특이한 극세 섬유상의 광물이다.
석면이 우리 생활에 언제부터 이용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그동안 석면은 석면가스켓(단열재), 석면시멘트(내화재), 석면직물(방화재), 석면 브레이크라이닝(마찰재)등 3,000여개의 제품에 사용되며 모든 경제 분야에 석면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석면의 종류/특성

석면의 종류 및 특성에대한 설명입니다.

GROUP 석면명 특성
사문석군 크리소 타일
(백석면:chrysotile)
가늘고 부드러운 섬유, 인강강도가 크고 가장 많이 사용
각섬석군 갈석면 고내열성 섬유
청석면 석면광물 중 가장 독성이 강함
안소필라이트 거의 사용치 않음
트레모라이트 거의 사용치 않음
악티노라이트 거의 사용치 않음

※ 석면의 8가지 특성 : 내화성 및 단열성, 절연성, 방부성, 방적성 및 고인정성, 유연성, 내마모성, 비흡수성, 안정성 및 환경축적성

석면은 수천가지 제품에 사용되는데 주로 강도를 높이고 강산이나 화학물질 또는 고열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탄성을 조절하기위해 사용된다. 석면은 증발하거나 녹거나 타지 않으며 다른 화학물질과 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생분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석면이 일반 환경 및 작업환경내에 축적된다.

석면의 위험성

석면의 위험성에대한 설명입니다.

석면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15~30년 잠복기를 거쳐 폐암, 악성중피종종, 석면폐등 사람에게 치명적인 건강 장애를 유발함

질병명 증성
폐암 석면 분진이 폐에 들어가 폐장의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가 이상증식하는 악성종양
악성중피종 흉막, 복막, 심막등의 체강장막강을 덮고있는 중피 표면 조직에 발생하는 종양
석면폐 석면분진 흡입시 폐조직이 만성 섬유 증식을 일으키는 진폐증의 일종

석면해체·제거 대상

석면해체·제거 대상에대한 설명입니다.

  • 1. 철거·해체하려는 벽체재로, 바닥재, 천장재 및 지붕재 등의 자재에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되어 있고 그 자재의 면적의 합이 5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 2.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된 분무재 또는 내화피복재를 사용한 경우
  • 3.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된 제30조의 3 제1항 제3호 각 목의 어느 하나(분무재 및 내화피복재는 제외한다)에 해당하는 자재의 면적의 합이 15제곱미터 이상 또는 그 부피의 합이 1세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 4. 파이프에 사용된 보온재에서 석면이 1퍼센트(무게 퍼센트)를 초과하여 함유되어 있고, 그 보온재 길이의 합이 80미터 이상인 경우

접속자집계

오늘
326
어제
392
최대
3,216
전체
333,443
그누보드5
주소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로 22, 1102호 (모라동, 부산벤처타워) | TEL : 051)609.9811~2 | FAX : 051)609.9813 | 대표 : 김희철 | E-MAIL : sojung3711@hanmail.net
Copyright © 2015 SOJUNG. All rights reserved.